본문 바로가기
728x90

세율5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세율 비교 작년 종합소득이 있으신 분들은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하는데, 종합소득에는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부동산 임대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등이 있습니다. ​ 매년 동일하지만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은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입니다.(신고 및 납부까지) 참고로 성실신고확인서 제출자는 6월 30일까지입니다. ​ 작년에는 수출 부진 및 산불 피해로 어려움을 겪는 납세자는 8월 31일까지 납부기한을 연장하였는데, 올해의 경우 아직 이러한 소식은 없습니다. 2. 종합소득세 세율 ​ 종합소득세 세율 적용 방법은 [과세표준] X [세율] - [누진공제]의 방법으로 적용합니다. 따라서 뒤에 종합소득세 절세 방법에도 알려드리겠지만, 과세표준을 줄이는 것이 낮은 종합소득세 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게 되고,.. 2024. 4. 18.
개인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신고방법, 세율 총정리 개인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신고방법, 세율 총정리 5월의 첫 황금연휴가 끝났습니다. 국세청이 4월 말 쯤에 이미 신고 안내문을 발송하여 모바일 또는 서면으로 받아보셨을 것입니다. 아직까지 준비하지 못하신 분들이라면 이제는 본격적으로 종합소득세 신고에 대해서 염두 해주시고 준비를 해야겠습니다. ​ 매년 하는 것임에도 1번 밖에 하지 않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아서 할 때마다 헷갈리는 부문이 있으실 것입니다. 그리고 매년 세법도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공부가 따로 필요하죠. ​ 그래서 개인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신고방법, 세율과 함께 참고하시면 좋을 정보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개인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개인사업자라면 매년 5월 1일 ~ 5월31일이 신고기간이 되겠습니다. 이때 납부도 이 기.. 2023. 11. 14.
부동산 양도세 및 양도소득세 신고방법, 세율, 세금 정리 2022년 하반기부터 정부에서는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들을 많이 내놓고 있습니다. 부동산 양도세 역시 기존 정책과 달라졌는데요. 그래서 부동산 양도소득세가 무엇인지, 신고방법과 세율, 세금까지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아래처럼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 내 부동산 자산이 보유기간 동안 많이 올랐는데, 비과세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해서 양도세가 커진다거나, 세금 고려 없이 여러 가지 물건을 막 매수해서 ​ 일명 '망투'가 되어선 안되겠죠. 집을 살 계획이신(그리고 아마도 집값이 오르리라 기대하실) 무주택자도, 1주택자도, 다주택자도 양도소득세는 꼼꼼히 체크해서 의사결정을 하셔야합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 1. 부동산 양도세란? 2. 부동산 양도소득세의 범위 3. 부동산 양도소득세 신고방법.. 2023. 11. 13.
법인세 신고기간 및 신고방법 안내 (납부방법, 절차) 1. 법인세 신고기간 및 납부 구분 신고 납부 기간 12월 사업연도 종료법인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성실신고 확인대상법인&연결납세방식 적용법인 3월 1일부터 5월 2일까지(4월말 공휴일) ​ 2022년 12월로 사업연도가 종료되는 영리법인과 수익사업을 하는 비영리법인, 국내 원천소득이 있는 외국법인은 3월 31일 금요일까지 법인세 신고 및 납부를 완료해야 합니다. (1.1 ~ 12.31 과세기간 소득을 다음연도 3.31까지 신고/납부) ​ 법인 중 ①성실신고 확인대상 법인이거나 ②연결납세방식을 적용하는 법인은 한 달 연장되어 5월 2일 월요일까지(4월 30일 공휴일) 신고 및 납부를 할 수 있습니다. ​ ① 성실신고 확인대상 법인 - 부동산임대업 등을 주업으로 하는 소규모 법인(근로자 5인 미만,.. 2023. 4. 30.
주택임대소득세 의미, 신고 방법 절차 세율, 과세판단 1.주택임대소득세 의미 1. 2019년 귀속분부터 주택임대수입금액이 2천만 원 이하이더라도 소득세를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2018년 귀속분까지는 주택임대 수입금액이 2천만 원 이하일 경우 소득세가 과세되지 않았지만 2019년 귀속분부터는 주택임대 수입금액이 2천만 원 이하이더라도 소득세를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 만일 주택임대 수입금액이 2천만 원을 초과하면 주택임대소득과 타 소득을 합산하여 소득세를 계산해야 하는데 이를 종합과세라 부릅니다. ​ 주택임대 수입금액이 2천만 원 이하이면 종합과세와 분리과세 방식 중 납세자가 선택한 방법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분리과세란 주택임대소득을 타서 득과 합산하지 않고 별도로 과세하는 것을 말합니다. ​ ​ ​ 2.주택임대소득세 세율 2. 보유주택을 계산한 다음 월.. 2023. 4.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