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인생이야기/4) 기타 도음되는 정보

24년 1인 법인 법인세 신고방법 신고절차 국세청

by 경제적자유 작장인 N잡러 2024. 3. 7.
728x90
 

1. 세무조정이란?

법인세 신고에서 가장 주의깊게 알아보셔야 하는 내용이 세무조정입니다.

세무조정이란 기업이 일반적으로 공정,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기업회계 기준에 의하여 작성한 재무제표상의 당기순손익을 기초로 하여 세법의 규정에 따라 익금과 손금을 조정함으로써 정확한 과세소득을 계산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말합니다.

기업회계
세무조정
세무회계
수익
(-)
(+)익금산입
(-) 익금불산입
익금
(-)
비용
II
(+)손금산입
(-) 손금불산입
손금
II
결산상당기 순손익

각사업연도 소득
 

 

1) 기업회계와 세무회계 차이

① 익금산입: 기업회계상 수익이 아니나 세무회계상 익금으로 인정하는 것

② 익금불산입: 기업회계상 수익이나 세무회계상 익금으로 보지 않는 것

③ 손금산입: 기업회계상 비용이 아니나 세무회계상 손급으로 인정하는 것

④ 손금불산입: 기업회계상 비용이나 세무회계상 손금으로 보지 않는 것


2. 세무조정의 구분

세무조정은 사업연도 말의 결산서에 손비로 계상한 경우에만 세법으로 인정하는 결산조정사항과 법인세 신고서에서만 계상해도 되는 신고조정사항으로 구분됩니다.

1) 결산조정항목 예시

- 감가상각비

- 고유목적사업준비금

- 퇴직급여충당금

- 대손충당금

- 구상채권상각충당금

- 법인세법 시행령§19의2①(8) 부터 (13)의 사유에 해당하는 대손금

- 파손·부패 등의 사유로 인하여 정상가격으로 판매할 수 없는 재고자산의 평가차손

- 천재지변·화재 등에 의한 유형자산평가차손 등

2) 신고조정항목 예시

- 무상으로 받은 자산의 가액과 채무의 면제 또는 소멸로 인한 부채의 감소액 중 이월결손금 보전에 충당하여 익금에 산입하지 아니한 금액

- 퇴직보험료·퇴직연금 부담금 등

- 국고보조금·공사부담금·보험차익으로 취득한 유형·무형자산가액의 손금 산입

- 자산의 평가손실의 손금불산입

- 제 충당금·준비금 등 한도초과액의 손금불산입

- 감가상각비 손금불산입

- 건설자금이자의 손금불산입(과다하게 장부계상한 경우의 손금산입)

- 손익의 귀속 사업연도의 차이로 발생하는 익금산입·손금불산입과 손금산입·익금불산입

- 조세특례제한법에 의한 준비금(당해 사업연도의 이익처분 시 당해 준비금을 적립한 경우에 한함)


3. 법인세 제출서류와 신고방법

1) 법인세 신고 시 제출서류

① 기업회계기준을 준용하여 작성한 개별 내국법인의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② 기업회계기준을 준용하여 작성한 이익잉여금처분(결손금처리)계산서

③ 세무조정계산서(별지3호)

④ 기타 부속서류 및 현금흐름표, 표시통화재무제표·원화재무제표

⑤ 피합병법인 등의 재무상태표, 합병·분할로 승계한 자산·부채 명세서 등

 

2) 법인세 전자신고 방법

법인세는 국세청홈택스를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부회계감사 대상법인, 주식회사가 아닌 직전 사업연도 자산총액 100억원 이상인 법인, 외형 30억 이상 법인은 재무제표 부속서류를 신고기한 종류 후 10일 이내 우편등의 방법으로 제출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법인세의 신고절차와 신고시 필수로 제출해야 하는 서류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법인세의 경우 절차와 자료가 깐깐하다 보니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현명하게 진행하시는 중요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