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인생이야기/4) 기타 도음되는 정보

육아휴직 급여 임대사업자 임대소득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by 경제적자유 작장인 N잡러 2023. 11. 15.
728x90
 

저의 작년 소득은,

육아휴직급여+(2000만원 이하의) 배당소득+(2000만원 이하의) 임대소득

이었습니다.

참고로, 육아휴직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임대소득 포함해서 월150만원(연 1800만원) 이상의 추가 수입이 있으면 안됩니다. 그래서 애드포스트 수익도 수령하지 않고 있답니다.

 

육아휴직급여+(2000만원 이하의) 배당소득+(2000만원 이하의) 임대소득의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는?

1. 육아휴직급여는 비과세 근로소득이어서 소득 신고 대상이 아닙니다. 저는 작년 1월~12월까지 육아휴직급여를 받았기에, 올초에 연말정산도 하지 않았더랬습니다.

2. 소액의 미국 주식 배당소득이 있었지만, 2000만원 이하의 금융소득에 대해서는 15.4%의 소득세가 원천징수되어 납세의무가 종결되므로 패쓰! 미국 주식의 배당소득도 미국 현지에서 15% 원천징수되므로 국내에서는 따로 추가 징수하지 않습니다.

3. 마지막으로 주택 임대소득만 남았는데, 좀 더 살펴보겠습니다.

주택임대소득세가 부과되는 경우는?

아래 조건들 중 1가지라도 해당되는 경우 주택 임대소득에 대한 소득세를 신고해야 하니 체크해보셔야 합니다.

1) 기준시가 9억원 초과의 고가 주택을 임대한 경우 (2023년분 부터는 12억원 초과로 상향)

2) 해외에 있는 주택을 임대한 경우 (주택 가격 상관없이 부과)

3) 부부 합산 2채 이상의 주택을 소유한 다주택자인 경우

 

총 임대소득 금액 계산

2주택의 경우: 월세 과세 but 보증금 간주임대료 과세 제외

3주택의 경우: 월세 과세 and 보증금 간주임대료 과세 → 월세 + 보증금간주임대료를 수입 금액으로 봄

*주택의 간주 임대료는 아래 계산 방법을 참조하시구요.

종합과세 vs 분리과세

주택임대 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면 종합과세로, 2천만원 미만이면 종합과세와 분리과세 중 선택해서 신고하면 됩니다.

 

1) 종합과세는 주택 임대소득을 이자, 배당, 사업, 근로, 기타 소득 등의 다른 소득과 함께 합산한 뒤, 과표 구간별 소득세율 (6-45%) 을 적용해 세금을 계산하는 방식이고,

2) 분리과세는 주택 임대소득을 다른 소득과 합산하지 않고, 임대소득에만 별도로 정해진 세율로 세금을 계산하는 방식이며, 세율은 14%입니다.

종합과세 세율이 14% 초과하면 분리과세를, 14% 미만이면 종합과세를 선택하는게 좋습니다.

주택 임대소득 금액이 연 2000만원 이하인 저는, 종합과세와 분리과세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 먼저 체크해봤습니다. 장기임대등록 물건들이어서 전세가가 낮은게 여기서 득을 보네요

분리과세로 하기 위해 상기 표에서, 수입금액에서 필요경비&공제금액을 공제해봤더니 '분리과세 사업소득금액'이 0이 되었습니다.

 

사업소득금액이 빵'0'

무실적 신고

사업소득금액이 0인 경우 신고를 안하기도 하지만, 아래의 소득세법 70조를 근거로 해서, 무실적 신고를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무실적 신고는 아래와 같이,

분리과세 주택임대신고 -> 정기신고 -> 모든 입력란을 공란으로 해둔 상태에서 '신고' 버튼 클릭

하시면 됩니다. 지방소득세도 자동으로 공란으로 떠서 무실적 신고됐구요.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