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성공2 절대로 돈 없는 상태에 익숙해지면 안 된다 가난한 사람이 대부분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를 고민해본 적 있는가. 돈을 헤프게 써서? 맞다. 돈을 벌 줄을 몰라서? 맞다. 돈 버는 노력을 안 해서? 그것도 맞다. 다 맞다. 근데 말이다. 이 모든 이유들엔 공통점이 있다. 무슨 공통점? 바로 ‘돈이 없는 상태에 익숙해져버렸다'는공통점이다. 기껏해야 입출금계좌에 100~200만원 있는 게 전부인 사람, 살면서 단 한 번도 5천만원 이상 통장에 갖고 있지 못해본 사람, 겨우 500만원정도 쌓였다 싶으면 금세 잔고가 몇십만원으로 쪼그라드는 사람. 그런 자의 특성이라면 ‘돈이 없는 상태’에 너무 익숙해져서 ‘돈 없는 상태를 불편해하는 것조차 잊어버렸다’는 사실이다. 말하자면 ‘돈이 없는 상태’로 이끄는 '쓰는 삶'에 중독돼버린 것이다. 허구.. 2024. 3. 9. 가난은 엄마 아들 관계도 망쳐버린다. 가난한것은 죄가 아니지만 가난한 생각은 죄다. 어렸을때 가난한건 내 선택이 아니지만, 40이 넘어서 가난한 것은 나의 선택이다. 후기부터 언급하자면 이 모자는 방송사 도움으로 심리치료를 받고 관계를 어느정도 회복했다고 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해결된 게 없어서 일시적인 회복이 될 가능성도 적지 않아 보인다. 무엇이 근본적인 문제인가. 가난이다. 이혼녀인 모친은 악착 같이 시간과 육체를 갈아넣고 일을 하지만 버는 돈은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아마 최저시급의 노동일 것이다. 사는 집의 컨디션과 주변 환경을 보면 찹잡한 마음이 가득인데, 어쩌겠는가. 주어진 현실인 것을. 가난을 욕보여선 안 되며, 가난한 현실은 그 자체로 죄가 아니지만, 가난한 상태를 극복하지 못하는 것은 죄다. 자녀에게 가.. 2023. 2. 27. 이전 1 다음 728x90